인천대 친환경플라스틱센터, 「생분해플라스틱 바이오가스화 실증사업」 환경부 순환경제 규제 샌드박스에 선정

글번호
399200
작성일
2024-12-27
수정일
2024-12-27
작성자
홍보팀 (032-835-9490)
조회수
647

친환경바이오플라스틱센터 생분해플라스틱 바이오가스화 실증 사업 관련 사진

친환경바이오플라스틱센터 생분해플라스틱 바이오가스화 실증 사업 관련 사진


-생분해성 플라스틱 바이오가스화의 안전성과 지속가능성의 과학적 검증 인천대학교에서

-인천광역시, 인천대학교, 30여 국내외 대기업 및 중소기업 참여


인천대학교(박종태 총장) 친환경플라스틱센터는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순환 가능성에 대한 과학검증을 위한 「생분해플라스틱 바이오가스화 실증사업」이 환경부 순환경제 규제샌드박스에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이번 실증은 한국바이오플라스틱협회(협회장 진인주), 새한환경기술(대표이사 이광준)과 공동으로 진행하며 인천대학교 내 위치한 커피숍, 식당, 대학 축제, 전시회 및 수도권 내 커피숍 등에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품을 제공하여 사용토록 하고 이를 회수 선별하여 유기성 자원으로 통합바이오가스화 적용을 목표로 CJ제일제당, LG화학, SK Leavo, 동성케미컬, CJ HDC 비오솔 등 국내외 대기업 및 중소기업 30여 곳이 참여할 예정이다.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의 중요성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은 플라스틱 대체물질로서, 플라스틱으로 인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그 중요성이 확산되고 있으며, 유엔환경계획(UNEP) 주도로 추진 중인 유엔 플라스틱 협약에서도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안전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과학적 검증이 꾸준히 요구되고 있다.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은 빠르게 분해되는 특징으로, 전처리 과정을 거쳐 기존 유기성 폐자원과의 통합 바이오가스화를 통해 에너지자원화가 가능하나, 현재 국내에서의 사용이 만료된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품의 수거 및 분류체계가 마련되지 않아 이 부분에 대한 법적 규제가 부재한 상황이다. 또한 대한민국 정부는 2023년 12월 ‘유기성 폐자원을 활용한 바이오가스의 생산 및 이용 촉진법(약칭 바이오가스법, 제정 ’22.12.30, 시행 ’23.12.31)’의 시행으로 국내 바이오가스 산업 활성화를 위한 법적 기반이 마련되었고, 생분해성 플라스틱이 바이오가스화를 위한 훌륭한 ‘자원’임에도 불구하고, 규제로 인해 ‘유기성 폐자원’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증사업의 목표와 계획

스위스, 이탈리아, 스페인 등 유럽 국가에서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음식물쓰레기와 함께 배출하고 바이오가스화 및 퇴비화를 통해 순환 에너지화에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 생분해성 플라스틱 폐기물의 별도 수거 코드 및 수거 체계가 없어 일반 종량제 봉투로 버려져 소각 또는 매립되어 순환 자원화에 활용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인천대학교는 수도권 소재 커피숍 및 교내 카페, 식당, 편의점, 학내축제, 전시회, 컨퍼런스에서 사용이 만료된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분리수거 체계를 마련하고, 수거된 생분해성 플라스틱 폐기물을 분류 선별하여 바이오가스화의 ‘안정성 및 유기성 폐자원으로써의 가능성’을 과학적으로 검증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실증에서는 인천대학교가 산업통상자원부 KIAT한국산업기술진흥원 ‘플라스틱 대체물질 소재부품장비산업 지원센터 구축사업’ 지원을 통해 구축한 「생분해성 플라스틱 혐기소화 바이오가스화 실증시설」을 활용한 1단계 예비실증(안정성과 조건을 확립)과 함께 인천광역시 인천환경공단 바이오가스화 실증시설을 이용한 2단계 본실증「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유기성 자원화 가능성 검증」의 2개 단계로 진행된다. 


환경부 순환경제 규제샌드박스

순환경제 규제샌드박스는 한정된 구역에서 새로운 기술과 서비스, 제품 등을 대상으로 규제특례 또는 임시허가를 통해 일정 기간 기존 규제를 면제·유예시켜주는 제도다. 실증결과 안정적이고 환경적으로 문제가 없다면 관련 규제를 개선하거나 보완을 목표로 하여, 생분해성 플라스틱 순환경제 자원화의 안전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과학적 검증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관련 규제 개선을 통해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관련 제품의 확산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국내를 벗어나, 유엔 플라스틱 협약에서 제시된 과학적 검증 데이터로 중요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미래를 위한 한 걸음

인천대학교 친환경플라스틱센터 강동구 센터장은 "이번 실증사업은 2025년부터 2년간 진행될 예정"이라며, "순한경제 규제샌드박스 실증을 통해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안전성과 에너지화 가능성이 과학적으로 입증되면, 친환경 바이오플라스틱 확산과 순환경제 실현, 나아가 탄소중립 2050 목표 달성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실증사업은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의 자원화 가능성을 검증함으로써 국내 순환경제의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첨부파일